어느새 팬이 생긴 정재승 박사 팬클럽 이름은 스맛푸(Smart Pooh)
오늘은 ITX 청춘열차!를 이용하는 멤버들
Q. 춘천 닭갈비는 왜 생겨난 걸까?
A. 시기를 특정 지을 수 없지만 자연스럽게 소고기 - 돼지고기 - 닭고기로 가격이 형성되면서 이름이 닭 + 갈비로 합쳐지고 (예를 들면 고갈비(고등어구이)가 나온 것처럼 ) 생겨나게 되면서 춘천이 자리를 잡게 된다.
Q. 나이가 들면 시간이 빨리 간다고 느끼는 이유?
A. 호기심이 떨어져 있는 상태라서
* 우리는 시간의 흐름을 사건의 축적으로 인식한다. 새로운 사건이 많았다면 같은 시간도 길게 느끼는데
새로운 사건이 없다면 시간도 굉장히 짧게 느껴진다.
* 프루스트 효과 : 향기가 과거의 기억을 이끌어 내는 효과
그리고 춘천의 명소 두 곳 인쇄 박물관, 애니메이션 박물관은 꼭 가보고 싶다.
* 프레카리아트(Precariat)
저임금, 저 숙련노동에 시달리는 불안정 노동 계급을 가리키는 신조어
이탈리아어 불안정함을 뜻하는 '프레카리오' 독일어 노동 계급을 뜻하는 '프롤레타리아트'의 합성어
# 작가는 사물의 이름을 아는 자다 (박완서)
* 사회적 방식으로 행동하는 로봇
- 동양인은 주로 눈을 보고 우리는 주로 이모티콘을 눈으로 ^^! ㅡㅡ^
- 서양인은 주로 입을 본다 그렇다면 이모티콘을 입으로 ~~ :) :( :/
먹거리가 그렇게 풍부하진 않아서인지 다른 편보다 이야기의 양이 적어 보이는 것은 왜일까^^
'日常(날 일, 항상 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독일도시] #1 통일을 열망했던 도시 라이프치히! (0) | 2018.07.20 |
---|---|
[IT강국] 에스토니아 그들의 화려함엔 이유가 있다! (0) | 2018.07.20 |
[인물] 천재 건축가 알베르트 슈페어 (0) | 2018.07.19 |
[일본 카미야마] 자연과 함께 공존하는 코워킹 스페이스 (0) | 2018.07.19 |
[미네르바스쿨] 신이라고 불리우는 학교 미네르바 스쿨! (2) | 2018.07.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