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 코엑스를 다녀오면서 내부에 있는 별마당 도서관을 다녀왔다..
별마당 도서관은 17년 5월 31일 개장한 코엑스 몰 내의 도서관이다.
이 포스팅에서는 별마당 사진으로 도배할 생각은 없다. 사진은 인터넷에도 너무도 많기 때문에
다른 이야기를 해볼까 한다. 먼저 별마당의 규모를 간단히 살펴보자.
총 850평 / 지하 1층부터 1층까지 복층으로 구성 /
13m 높이 대형 서가 3개와 5만여 권의 장서 / 600여 종의 최신 잡지 진열
위의 내용으로 홍보를 많이 하고 있는 별마당 도서관이다.
별마당이라는 이름은 꿈을 펼친다는 의미의 "별" 과 누구나 무료로 이용할 수 있는 열린 공간인 "마당"을 합친 것으로
책을 펼쳐 꿈을 품을 수 있는 공간이라는 풀이까지 만들어 놓음으로써 시민들과 소통하려는 의지가 엿보인다.
그럼 별마당은 누구의 소유이며, 누가 만들었을까가 바로 오늘의 이야기이다.
신세계 프라퍼티를 알고 있는가? 그럼 하남 스타필드, 구리 스타필드를 알고 있는가?
그렇다!! 바로 그것을 만든 기업이 신세계 그룹 계열의 프라퍼티이다.
지난해 그러니까 16년 12월 코엑스몰을 신세계가 맡게 되면서 이야기는 시작된다.
코엑스몰을 맡게 된 신세계 프라퍼티는 이곳의 변화가 절실했다고 느꼈을 것이다.
코엑스는 과거에 화려했던 명성에 맞지 않게 방문율이 추락하고 있는 장소였다.
제2 롯데월드, DDP, 광화문, 가로수길, 홍대, 성수동 등 서울 내 젊은이들의 핫 플레이스가 많이 생겨나면서
밀려난 장소가 돼버렸기에 전략이 필요했다. 단순히 구매하고 소비하는 공간을 넘어
더 다양하고 많은 사람들을 모이게 하는 공간을 떠올렸던 것이다.
1년에 5억이라는 유지비용이 들어가고
오전 10시부터 밤 10시까지 누구나 연중무휴로 쉬었다 책도 읽고 사람도 만나는 공간을 만들었다는 것에 대해
조금 더 지켜봐야겠지만 대단한 용기와 도전이 필요했다고 생각한다.
그럼 누가 이런 공간을 만들었는가? 바로 세계적인 미국의 건축설계사무소 GenSler(겐슬러)가 맡았다.
겐슬러는 설계 및 건축회사로 샌프란시스코에 본사를 둔 미국에서도 5년 연속 11억 8천만 달러(1조 이상)의
수익을 창출한 회사이다.
겐슬러라는 기업은 2015년 런던 언더라인이라고 하여 사용하지 않는 지하철 터널이나 역, 창고를 재활용해
런던 시내를 이동하는 자전거 정체 현상을 줄이자는 아이디어로 시작해
'日常(날 일, 항상 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시] 우리가 지켜야하는 또 다른 가족 내셔널지오그래픽 포토 아크전 (0) | 2018.07.03 |
---|---|
[생활정보] 내 휴면계좌를 한눈에 알아보자! (0) | 2018.07.02 |
[이사] 시즌! 대출에 대한 문제를 알아보다 (0) | 2018.07.01 |
[역사] 유쾌하고 재미있는 도도새 이야기 (0) | 2018.07.01 |
[ADEX 2017] 너무나도 아름다웠던 에어쇼와 군인들의 공연들! (0) | 2018.07.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