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를 키우는 부부의 잠으로 다큐는 시작된다
아이의 수면은 어떤것일까?

미국 수면연구의 아버지 나다니엘 클라이트먼(1895~1999)는 동굴에서 본인이 1달동안 잠을 자며
아기의 잠도 연구하게 된다
아기는 한달동안 자다깨다를 반복하며 하루에 15시간을 잔다
이후 6~9주 사이에는 밤에 자는 시간이 점점 길어진다고 한다
밤에 길게 자는 습관은 17주 이후에 나타난다고도 했다
아기는 태어날때부터 위가 작기 때문에 필요한만큼 먹고 다시 깨어나 보충을 하는 것이라는것
그렇다! 아기는 작다! 먹는게 작으니 소화도 금새 되고 많이 저장할 수 없는 위 크기를 가졌으니
자다깨다를 반복하는 것이 당연했다 ㅎㅎ
그리고 클라이트먼의 제자인 아제린스키(1921~1998)는
결정적 단서를 찾아낸다 바로 렘수면~
성인의 잠은 3~4시간 주기로 이 과정을 반복하며 잠에 든다

그러나 아기는 1시간 주기로 렘수면 비렘수면의 과정만을 반복한다고 알아낸 것이다

아기는 렘수면을 하는 동안 성장한다
들었던 소리 촉각 감각등을 정리하며 성장하는 것
또 육아를 하며 겪는 뻔한 문제 밤에 울때 울리는 것을 놔둬야 하나 케어해야 하나
어느것이 되었든 아프거나 배고프거나 땜에 우는 경우도 있고 아닌 경우도 있어
조금 어려운 질문이긴 했다

두 박사의 의견이 다를만큼 케이스별로 다르긴 했다


그러나 가장 중요한 부분은 아기를 재우기 위해서 패턴을 유지해야 하는데
1 침실 빛 차단을 위해 커튼 달기 ~
2 낮엔 햇빛 충분히 쐐기(어두운곳에서 낮에 재우는 것은 좋지 않다고 했다) 충분한 빛을 쐐고
자연스럽게 저녁에 수면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것
3 저녁엔 부분 조명 쓰기가 그러했다
아이든 어른이든 잠은 인간의 몸에 굉장히 중요한데! 다큐를 통해 조금 더 세밀하게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1부는 여기서 마무리
'다큐멘터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EBS 2019년_100세 쇼크_3부 늙은 신인류의 진짜 노인되기 (1) | 2025.03.26 |
---|---|
EBS 2012년_치매를 부탁해2_6부 치매앞의 당신 (5) | 2025.03.25 |
EBS 2008년 상상에 빠지다_2부 상상 그리고 뇌 3부 상상도 배울 수 있다 (7) | 2025.03.22 |
EBS 2008년 상상에 빠지다_1부 미래를 말하다 (5) | 2025.03.22 |